분류 전체보기
-
금오동 정형외과 / 요추, 척추 디스크와 내장증에 대하여정형외과질환정보 2023. 6. 13. 15:32
안녕하세요, 금오동 정형외과입니다. 정형외과에서 많이 다루는 과목인 요추 관련 질환인 디스크와 내장증에 대하여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요추디스크란? 추간판은 원판모양으로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해주는 연골조직이며 중심부의 수핵을 단단한 섬유륜이 실타래처럼 감싸고 있는 형태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에 수분이 빠지며 퇴화가 되거나 심하게 다치는 경우 섬유륜이 파열되며 망가진 수핵이 밖으로 밀려 나오게 되는데 이를 추간판 탈출증(일명 디스크)이라고 합니다. 요추디스크, 어떤 증상을 일으키나요? 밀려나온 수핵이 주변 신경을 누르면 허리 통증과 하지로 내려가는 방사통, 감각저하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하지마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체검진 및 x-ray, MRI등의 영상검사를 통해 이를 진단하게 ..
-
청소년기 빈번하게 발생하는 무릎 전방 통증에 대하여카테고리 없음 2023. 6. 11. 11:35
청소년기의 무릎전방 통증이란? 무릎 전방의 만성화된 통증은 젋고 활동적인 경우에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청소년들에게 일어나는 무릎 전방 통증은 특이한 이상 소견 없이 발생하며 지속적인 활동을 지속한다고 하여 무릎이 더 손상이 심해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무릎전방통증, 어쩌다 발생하나요? 대부분의 경우 무릎의 전방 통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습니다. 복잡한 구조인 무릎 관절은 많은 하중을 담당해야 함과 동시에 구부려야 하기에 무릎 정렬, 활동, 훈련, 그리고 과다 사용으로 인한 작은 문제에도 미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압박에 의해 슬개골이 대퇴 원위 활차로부터 이탈되어 슬개골 관절 면에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10대에는 다름과 같은 요소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무릎 관절을 지지하는 대퇴사..
-
팔꿈치의 운동범위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면카테고리 없음 2023. 6. 8. 14:39
안녕하세요, 팔꿈치의 운동범위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경험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팔꿈치 경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팔꿈치 강직이란? 팔꿈치의 관절 운동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0도~140도 펴지거나 구부러지고 손목을 포함한 손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90도 회전이 됩니다. 이 정상 운동범위 각도에서 일상생활에 장애가 없는 각도는 30~130도 및 50도 회전운동이라고 할 수 있으나 개인에 따라 불편한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팔꿈치 경직의 원인에 대하여 팔꿈치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관절낭이 굳어지는 경우가 가장 흔하고 보통은 관절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등의 외상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발생합니다. 이 관절낭의 구축이 팔꿈치 관절의 앞쪽에 생기면 팔꿈치가 펴지지 않게 되고 뒤쪽에 생기면 구부러지는데 방해를 ..
-
동두천 정형외과 / 무지 외반증이란 어떤 질병인가요?카테고리 없음 2023. 6. 6. 21:30
안녕하세요, 동두천 정형외과입니다. 발이 불편한 구두를 오래 신을때 발생하기 쉬운 질병 무지외반증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젊은 여성에게 자주 발병하는 질환 무지 외반증은 무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병입니다. 미국의 통계로 전 인구의 약 2-4% 가량에서 발생한다고 하며 최근 많은 사람들이 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볼이 좁은 신발을 선호하게 되었고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하이힐 착용이 증가하면서 엄지 발가락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무지 외반증, 어떻게 발생하나요? 무지 외반증은 신발을 신지 않는 사람에서는 발생 빈도가 약 2%정도이나 신발을 신는 사람에게서 약 33%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볼 때 신발이 무지외반증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볼이 ..
-
쇄골 골절, 정형외과에선 어떻게 치료하나요?카테고리 없음 2023. 6. 4. 14:56
안녕하세요, 쇄골 골절의 경우 정형외과의 치료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쇄골 골절,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쇄골은 인체에서 가장 흔히 부러지는 뼈로 어깨로 넘어지는 경우에 잘생깁니다. 골절의 위치에 따라 내측, 중간, 외측 1/3로 나누며 중간부위 골절이 가장 흔합니다. 쇄골 골절, 어떻게 진단하나요? 엑스레이 사진으로 쉽게 진단이 되며 피부 밑에서 만져지는 뼈로 골절이 어긋나면 외관상으로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쇄골 골절 정형외과 치료가 궁금합니다. 대부분 유합이 잘 되고 기능상 문제없이 잘 낫습니다. 비수술적 방법으로 8자형 붕대를 4~6주간 유지하는 정도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수술이 필요한 골절로는 뼈가 붙지 않아 통증이 지속되는 불유합, 어긋한 골절편이 피부를 뚫을 것 같은 정도로 튀..
-
척추측만증의 종류에 대하여카테고리 없음 2023. 6. 2. 20:07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이 겪으시는 척추측만증의 종류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척추측만증이란? 허리가 S자형으로 휘어지는 척추의 변형으로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미국 척추 측만증 학회에서는 방사선 사진에서 10도 이상 경사가 있는 경우만을 측만증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발생 빈도 : 전체 인구의 약 2%-3% 정도에서 나타납니다. 척추측만증의 종류 측만증은 선천성, 신경-근육성, 특발성 척추 측만증으로크게 3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특발성 척추 측만증이 가장 많으며, 일반인들이 흔히 알고 경험하는 측만증은 특발성 입니다. 선천성 척추 측만증 처음 사람의 뼈 및 척추가 형성되는 발생시기에 선천적인 척추의 기형으로 의하여 척추가 휘어지는 측만..
-
양주 교통사고 병원 / 목과 어깨 결림을 해결해주는 스트레칭과 찜질요법정형외과질환정보 2023. 5. 31. 13:23
안녕하세요, 양주 교통사고 병원입니다. 목이나 어깨부근이 찌뿌등하실 때, 집에서 손쉽게 따라하실 수 있는 스트레칭과 찜질 요법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목과 어깨 스트레칭 목의 뒷부분은 중추 신경이 모였다가 갈라지는 중요 부위입니다. 그렇기에 목통증을 예방하려면 목 주변의 온도를 적당히 따뜻하게 유지하고, 근육도 적당히 이완시켜주어야 합니다. 따락서 틈나실 때마다 목을 돌리거나 목 주변을 주물러 근육이 경직되지 않게 해야합니다. TIP1) 목을 앞으로 숙여 등 쪽 근육을 늘여준 뒤 천천히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5회 정도 실시합니다. TIP2) 샤워할 때에 뜨거운 물로 목 뒷덜미를 마사지하는 것도 좋습니다. TIP3) 봄가을에는 스카프를, 겨울에는 목도리를 둘러 목주변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여름..
-
중장년기에 찾아오는 정형외과 질환, 안심하시면 안돼요!정형외과질환정보 2023. 5. 27. 22:05
안녕하세요, 중장년기에 많은분들이 겪으시는 회전근개 파열, 미리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회전근개의 치료와 예방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회전근개 파열이란? 회전근 힘줄 질환은 중년을 포함한 노인 어깨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최근 노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초음파와 MRI 등의 영상 기술의 발달로 진단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어느 부위에 발견되며, 원인은 무엇인가요? 어깨 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들 사이를 통과하는 4개의 근육이 있는데 이들의 주요기능이 팔을 안으로 또는 바깥으로 돌리는 회전기능을 하기 때문에 회전근이라 불립니다. 몸통의 견갑골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근위부로 붙는데 부착 시에는 힘줄로 바뀌어 단단히 고정됩니다.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및 소원근의 네 ..